가톨릭대학교가톨릭대학교가톨릭대학교가톨릭대학교심리학과

 

교수진

교수소개

안내사항

  • 교수진 정렬 기준 : 학과 교원, JA 교원 순. 본 학과 교원은 학과장, 직위, 입사일, 이름 순서로, JA 교원은 원 소속 학과명, 직위, 입사일, 이름 순서임.
  • JA 교원의 학과 정보는 '원소속 학과'를 기준으로 정렬함.

    * JA(Joint Appointment) 교원은 원 소속 외 겸무 부서(학과, 전공, 교실, 기관)에 소속된 자.

게시글 검색
전체
  • 유금란 교수

    Yu, Kumlan

    학과장
    • 소속학과

      심리학과

    • 연구실

      미카엘관(교수동) T407

    • 연구분야

      심리학

    • 연구키워드

      상담심리

    유금란(Yu, Kumlan) 프로필 이미지
    상담자 교육 및 수퍼비전으로 박사학위를 받고 미국 텍사스 주립대 샌안토니오 캠퍼스 상담학과에서 교수로 재직하였고 본교에서 2008년부터 재직하고 있다. 현재 연구 관심분야는 상담자의 전문성 개발과 관련한 이슈들 (상담자의 윤리적 이슈 및 다문화 상담, 상담자 소진 등)과 청소년 관련한 주제들을 포함하고 있다. 한국상담심리학회 상담심리사 1급 (상담심리전문가 No. 708) 자격을 취득하였고 상담자 수퍼비전을 제공하고 있으며 지난 2021-22년  학술지 <상담및심리치료> 편집위워장을 역임했다. 다양한  상담관련 공공기관에서 특강, 자문 및 수퍼비전을 진행하고 있다. 
    Kumlan Yu has earned her PhD in Counselor Education and Supervision from the University of Arkansas. After her PhD, she has worked as an assistant professor in the Department of Counseling at the University of Texas at San Antonio (for 1 year). Since then (2008) she is working for the University of Catholic University. Her research and professional interest areas are including but not limited professional development issues ( e.g. multicultural counseling, ethical issues, and burnout for professional counselors) and issues with adolescent counseling. She is a certified rank 1  counseling psychologist (No. 708) from Korean Counseling Psychological Association and provides counseling supervisions, consultations, and workshops for counseling related institutions.
    
  • 박영석 교수

    Park, Young Seok

    • 소속학과

      심리학과

    • 연구실

      미카엘관(교수동) T406

    • 연구분야

      조직심리학, 사회심리학

    • 연구키워드

      리더십의 유연성 심리적 계약 안전 문화 안전 행동

    박영석(Park, Young Seok) 프로필 이미지
    조직 행동과 사회 행동 분야에서 개인의 유연성을 연구하고 있다. 예를 들어, 개인의 성격, 가치, 동기,그리고 리더십의 유연성이 갖는 효과를 경험적으로 연구하고 있다. 이 연구들의 공통점은 개인의 여러 특성이나 역량이 단순에서 복잡으로, 그리고 경직에서 유연으로 발달하는 과정에 근본적인 관심을 두고 있다. 또 다른 연구분야는 산업 장면에서 안전 문화와 안전 행동을 경험적으로 연구하고 있으며, 한국 안전 보건 공단에 기업 조직에 활용될 수 있는 진단도구와 코칭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탑재하고 있다. 많은 기업들이 이 도구를 활용하고 있으며, 이 과정에서 얻어진 자료를 기반으로 여러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I am studying individual flexibility in the fields organizational and social behavior. For example, I am empirically researching the effects of an individual's personality, value, motivation, and leadership flexibility. The common thread among these studies is a fundamental interest in the process by which various individual characteristics or competencies develop from simple to complex and from rigid to flexible. Another area of research involves empirically studying safety culture and safety behavior in industrial settings. We are developing diagnostic tools and coaching programs for Korean Safety and Health Agency that can be utilized by companies. Many companies are utilizing these tools, and various studies are being conducted based on the data obtained from this process.
  • 남종호 교수

    Nam, Jong-Ho

    • 소속학과

      심리학과

    • 연구실

      미카엘관(교수동) T408

    • 연구분야

      인지심리학

    • 연구키워드

      시지각

    초기 시각 지각 과정에 대한 모델링 연구에서 사회 맥락 지각까지 폭넓은 주제를 다루고 있다. 1997년 미국 Rutgers 대학교에서 초기 시각 모델링에  관한 연구로 인지심리학 Ph.D. 학위를 받았으며, 1년 간의 University of California, Irvine에서 PostDoc 연구원을 하고 1998년부터 가톨릭대학교교수로 취임하였다. CSEL(Cognitive Science and Engineering Lab)을 운영 중이다. 인지심리학과 인접 연구 분야와의 협력에 적극적이며, 또한 실험 연구 방법에 관심이 많아 최근 PsychoPy  Builder에 관한 책을 출판 준비 중이다.
    Professor Jong-Ho Nam conducts modeling research covering a wide range of topics, from the early vision process to social context perception. In 1997, he earned his Ph.D. in Cognitive Psychology from Rutgers University in the United States, focusing on early visual modeling. Following that, he worked as a PostDoc researcher at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Irvine. Since 1998, he has been a professor at Catholic University, where he currently runs the Cognitive Science and Engineering Lab (CSEL). Professor Nam actively collaborates with adjacent research fields in cognitive psychology and has a keen interest in experimental research methods. Recently, he has been preparing to publish a book on PsychoPy Builder
  • 정남운 교수

    Chung Namwoon

    • 소속학과

      심리학과

    • 연구실

      미카엘관(교수동) T311

    • 연구분야

      대상관계이론, 애착이론, 전이초점치료, 정신화기반치료

    • 연구키워드

      애착 정신화 대인관계

    정남운(Chung Namwoon) 프로필 이미지
    상담심리학을 전공한 심리학과 교수이며 한국심리학회 상담심리사1급과 주수퍼바이저 자격을 보유한 현직 상담자이다. 대상관계이론, 애착이론, 정신화기반치료 등 관계중심 접근을 선호하며 연구, 강의, 상담, 수퍼비전에 이들 이론을 지금-여기의 상황에 맞추어 적용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상담심리대학원장과 교육대학원장을 지냈고, 한국상담심리학회 회장을 역임하였다.
    												
    							
  • 이희경 교수

    Lee Heekyung

    • 소속학과

      심리학과

    • 연구실

      미카엘관(교수동) T806

    • 연구분야

      상담심리학, 긍정심리

    • 연구키워드

      긍정정서와 정서조절 강점과 외상후 성장 친밀한 대인관계 긍정성 공명

    이희경(Lee Heekyung) 프로필 이미지
    상담심리학을 전공하고 한국심리학회 상담심리사 1급(No.84)과 주수퍼바이저 자격을 취득하여 상담 전공생들을 지도하고 있다. 한국상담심리학회 부회장과 가톨릭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장을 역임했다.  긍정심리 특성이 심리적 고통 극복 과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관심 갖고 연구하고 있다.  
    												
    							
  • 박기환 교수

    Park Keehwan

    • 소속학과

      심리학과

    • 연구실

      미카엘관(교수동) T403

    • 연구분야

      인지행동치료에서 수용과 자기자비의 역할, 정서인식 및 정서조절의 역할

    • 연구키워드

      정서조절 사회불안 자기자비 외상후 성장 자살과 애도 복합외상

    박기환(Park Keehwan) 프로필 이미지
    1990년대 초중반부터 인지행동치료를 임상 현장에 적용해 왔으며, 사회불안의 인지행동치료 효과 및 효과 기제에 대한 연구로 2000년 고려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인제의대 서울백병원 신경정신과 연구교수로 재직하며, 공황장애와 사회불안장애의 집단인지행동치료를 시행하였고, 치료효과 관련 논문을 여러 편 출판하였다. 2004년 이후 가톨릭대 심리학과 교수로 재직하며 사회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인지적, 정서적, 행동적 요인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고, 2010년대 이후에는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와 외상후성장을 구분하는 특징과 경로에 대한 연구, 신체자각과 정서자각이 정서조절에 미치는 영향, 자기자비 글쓰기가 수치심, 불안, 울분 등에 미치는 효과, 정서적 외상이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등 다양한 주제들에 관심을 가지고 대학원생들과 함께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국제학술지 논문을 포함하여 약 120여편의 논문을 발표한 바 있으며, 제 55대 한국임상심리학회장을 역임한 바 있고, 현재는 한국인지행동치료학회장을 역임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