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윤경 교수
Jeong, Yoonkyung
-
소속학과
심리학과
-
연구실
미카엘관(교수동) T402
-
연구분야
발달심리
-
연구키워드
인지 및 정서 발달 부모 양육 스마트 테크놀로지와 디지털 미디어
발달심리학자로써 영유아에서 청년기까지 인지 및 정서의 발달과 그 관련 변인들을 연구하고 있다. 아동 기질의 특성, 영아기 애착과, 부모의 심리적 특성 및 양육 태도에 따른 정서적 유능성. 동기 그리고 사회적 유능성과 정신 건강을 연구하고 있다. 최근에는 디지털 미디어와 스마트 테크놀로지가 아동 및 청소년의 인지 정서 및 정신 건강에 미치는 영향력을 연구하고 있으며 이와 관련된 부모의 양육태도(디지털 패런팅)을 탐구하고 있다.
My research focues on the cognitive and emotional development of individuals spanning from infancy to adolescence, along with their developmental correlates. Specifically, my focus lies in understanding the development of emotional regulation, motivation, and social competence in children,
-
소속학과
-
-
최은실 교수
CHOI EUN SIL
-
소속학과
심리학과
-
연구실
미카엘관(교수동) T606
-
연구분야
심리학
-
연구키워드
발달심리학
아동, 청소년, 성인, 노인에 이르는 발달과정에서 경험하는 정서행동문제와 발달정신병리에 원인이 되는 요인인 기질, 성격, 양육태도에 대한 연구를 주로 하고 있으며, 심리치료와 관련하여 마음챙김, 인지행동치료, 디지털치료제에 대해서도 연구하고 있다. 서울시아동청소년정신건강시설 동작아이존에서 시설장으로 근무하다가, 서울사이버대학교 상담심리학과 교수, 경일대학교 심리치료학과 교수로 재직하였으며, 2014년 본교 심리학과 교수로 임용되었다. 2019-20년 한국발달심리학회 학술위원장, 2021-22년 한국 발달심리학회 교육위원장, 2023-24년 한국발달심리학회 편집위원장, 2022년 한국심리학회 총무이사를 역임하였으며, 서울아동복지시설, 아동보호전문기관, 서울시아동청소년정신건강기관들의 자문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저서로는 발달정신병리학, 발달정신병리 사례집, 성인 및 노인심리학, 놀이치료, 아동청소년 이상심리학, 복합 PTSD 워크북, 청소년을 위한 마음챙김 기술 등이 있으며, 심리검사로는 BFI 성격검사와 STS 6요인 기질검사 등을 개발하였다.
I primarily focus on researching the factors that contribute to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as well as developmental psychopathology experienced during the developmental process from childhood to old age. These factors include temperament, personality, and parenting styles. Additionally, I conduct research on mindfulness, cognitive-behavioral therapy, and digital therapeutic interventions in relation to psychotherapy. I worked as a facility manager at Dongjak Izone, a mental health facility for children in Seoul, and then as a professor of counseling psychology at Seoul Cyber University and psychotherapy at Kyungil University. In 2014, I was appointed as a professor of psychology at the current institution. I served as the Chairman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Developmental Psychology from 2019 to 2020 term, the Education Director from 2021 to 2022, and the Editorial Director from 2023 to 2024. I also held the position of General Affairs Director for the Korean Psychological Association in 2022. Furthermore, I am actively involved as an advisory board member for child welfare facilities, child protection agencies, and child and adolescent mental health institutions in Seoul. My publications include Developmental Psychopathology, A Casebook on Developmental Psychopathology, Adult and Geriatric Psychology, Play Therapy, Abnormal Psychology in Children and Adolescents so on.
-
소속학과
-
양재원 교수
Yang Jae-Won
-
소속학과
심리학과
-
연구실
미카엘관(교수동) T901
-
연구분야
심리학
-
연구키워드
임상심리학
연세대학교 심리학과에서 학부와 석사를 마치고, 성균관의대 삼성서울병원 정신건강의학과에서 임상심리레지던트로 일했으며, 임상심리전문가(한국심리학회), 정신건강임상심리사 1급(보건복지부) 자격을 갖고 있다. 2010년 연세대학교에서 사회불안의 인지편향을 주제로 박사학위를 받았고, 경일대학교 전임강사, 연세대학교 조교수로 일했으며, 2015년부터 가톨릭대학교 심리학과 교수로 일하고 있다. 불안장애, 특히 사회불안장애와 섭식장애의 인지편향에 관심을 갖고 연구하고 있다. 여러 정신병리 현상이 부정 정서 자극에 대한 주의 편향, 외부 자극을 부정적으로 해석하는 편향, 신호탐지이론을 적용한 부정 정서에 대한 민감성과 반응 편향, 그리고 정서 자극의 평균 추론 편향을 주로 연구하고 있다. 인지편향을 수정하는 치료적 개입에도 관심을 갖고 있다. 한국임상심리학회와 한국심리학회에서 이사직을 여러 차례 역임한 바 있다. 현재 학부에서는 이상심리학, 임상심리학, 스트레스와 적응, 남성과 여성의 심리학, 대학원에서는 정신병리학을 강의하고 있다.
After completing my undergraduate and master's degrees in psychology at Yonsei University, I worked as a clinical psychology resident at Samsung Seoul Hospital, Department of Psychiatry, Sungkyunkwa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I hold a Certified Clinical Psychologist (Korean Psychological Association) and Clinical Psychologist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In 2010, I obtained a Ph.D. from Yonsei University with a dissertation on cognitive biases in social anxiety. I have served as an assistant professor at Kyungil University and Yonsei University. Since 2015, I have worked as a professor in the Department of Psychology at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My research interests focus on cognitive biases in anxiety disorders, particularly social anxiety disorder and eating disorders. I investigate psychopathological phenomena such as attentional biases toward negative emotional stimuli, biased interpretation of external stimuli, sensitivity and response biases to negative emotional stimuli applying signal detection theory, and biased ensemble coding of emotional stimuli. I am also interested in therapeutic interventions aimed at modifying cognitive biases. I have held various positions as a board member of the Korean Clinical Psychology Association and the Korean Psychological Association.
-
소속학과
-
김보영 부교수
Boyoung Kim
-
소속학과
심리학과
-
연구실
미카엘관(교수동) T401
-
연구분야
심리학
-
연구키워드
상담심리학
상담심리학 분야의 연구를 수행하고 있으며, 연구 결과물은 국내뿐만 아니라 국제저명전문학술지(SSCI)에도 왕성하게 게재되고, 인용되고 있다. 2020년 한국상담심리학회 소장학자상을 수상한 바 있으며, 국제공동연구를 활발히 수행하고 있다. 이러한 성과로 가톨릭대학교 연구자 시스템인 PURE에 사회과학 분야 대표 연구자로 홍보되고 있다.
Boyoung Kim has been conductiong research in the field of counseling psychology, and the research results are actively published and cited not only in Korea but also in international renowned academic journals (SSCI). In 2020, she was awarded the Young Scholar Award of the Korean Counseling Psychology Association and is actively conducting international collaborative research. For these achievements, PURE, a system of researchers at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is promoting Boyoung Kim as a representative researcher in the field of social science.
-
소속학과
-
이수림 부교수
Lee Su Lim
-
소속학과
상담심리대학원
-
연구실
성의회관 (서울성모병원내) SE717
-
연구분야
상담심리, 심리치료, 집단상담, 상담자 교육, 정신역동치료, 외상
-
연구키워드
상담심리 심리치료 집단상담 상담자 교육 정신역동치료 외상
이수림 교수는 상담심리 및 심리치료 분야를 주로 연구하고 있다. 2008년 가톨릭대학교에서 박사학위 취득 후, 2009년-2011년 미국 오레건주립대학의 연구원으로 지혜 연구를 수행하였고, 2011년-2017년까지 한국열린사이버대학교 상담심리학과 교수직을 수행하였다. 2017년부터 가톨릭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및 심리학전공 교수로 상담 및 심리치료이론, 집단상담, 상담사례지도 등을 가르치고 있다. 한국상담심리학회 상담심리사1급 자격, 청소년상담사 1급 자격을 갖추고 있어 상담 실제에 적용가능한 연구들을 수행하고 있다. 2011년 부터 청소년상담사 자격연수 강사로 부모상담을 강의하고 있으며, 교재 집필을 하였다.
Professor Sulim Lee mainly conducts research in the field of counseling psychology and psychotherapy. After receiving his doctorate from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in 2008, she conducted wisdom research as a researcher at Oregon State University in the United States from 2009 to 2011, and served as a professor in the Department of Counseling Psychology at Korea Open Cyber University from 2011 to 2017. Since 2017, she has been a professor at the Graduate School of Counseling Psychology and Department of Psychology at Catholic University, where she teaches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theory, group counseling, and counseling case guidance. She holds a level 1 qualification as a counseling psychologist from the Korean Counseling Psychology Association and a level 1 Youth counselor , and is conducting research applicable to counseling practice. Since 2011, she has been lecturing on parent counseling as a youth counselor qualification training instructor and has written teaching materials.
-
소속학과